Ubuntu 20.04LTS에서 Gitlab 서버를 구축해보겠습니다.
Gitlab 설치
다음 Gitlab 링크를 참조하여 ubuntu에 gitlab을 설치합니다.
1. 필요한 라이브러리 및 종속성을 설치합니다.
sudo apt-get update
sudo apt-get install -y curl openssh-server ca-certificates tzdata perl
2. gitlab-ee(Enterprise Edition) Package Repository 추가 및 설치합니다.
curl https://packages.gitlab.com/install/repositories/gitlab/gitlab-ee/script.deb.sh | sudo bash
# EXTERNAL_URL을 따로 설정하지 않으면 https로 등록되어지면서 자동으로 Let's Encrypt 인증서가 생성됨
# gitlab-ee로 설치하면 30일 평가판이 종료될 시 자동으로 gitlab-ce로 바뀜
sudo EXTERNAL_URL="http://IP:Port" apt-get install gitlab-ee
3. Gitlab이 설치되면 다음 경로에 초기 패스워드가 저장됩니다.
초기 패스워드 설정
다음 Gitlab 링크를 참조하여 초기 패스워드를 설정합니다.
- gitlab에 접근 후 초기 패스워드를 사용하여 로그인하고 초기 패스워드를 사용자 지정 패스워드로 변경하기 위해서 Edit profile > Password로 이동합니다.
Gitlab 설정 파일 변경
- Gitlab 설정과 관련된 파일은 /etc/gitlab/gitlab.rb 경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Gitlab 설정 파일을 재설정 할 경우 다음의 명령어를 사용합니다.
# 설정 적용
sudo gitlab-ctl reconfigure
# 서비스 재시작
gitlab-ctl restart
# 서비스 상태 확인
gitlab-ctl status
# 서비스 중지
gitlab-ctl stop
Project Import
Github에 있는 소스코드를 Gitlab에 Import 시킵니다. 관련 내용은 다음 Gitlab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
- 기본적으로 Gitlab 서버를 구축하면 소스코드를 Import할 수 있는 설정 값이 Disabled 되어 있습니다. 이를 Enabled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Admin Area > Settings > General > Visibility and access controls 로 접근하여 다음의 VCS들을 허용해 줍니다.
2. 이제 소스코드를 Import 시키기 위해서 Projects > New project > Import project > Github로 이동합니다.
3. Github Personal Access Token 값을 넣는 화면이 나오면 PAT을 등록합니다. 또는 Oauth 방식을 사용하여 Github와 Gitlab간 통합을 할 수도 있습니다.
4. 원하는 소스코드를 선택하고 Import 시킵니다.
5. Import가 완료되면 다음과 같이 상태 값이 바뀝니다.
6. 만약 Import 한 프로젝트가 Public으로 되어 있다면 특정 프로젝트 > Settings > Project visibility > Private으로 변경 > Save Changes 를 선택합니다.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리눅스 표준 디렉터리 (0) | 2025.04.30 |
---|---|
[Linux] 쉘과 Login Shell vs Non Login Shell (0) | 2025.03.27 |
[Ubuntu] Let's Encrypt 와일드카드 인증서 발급 (0) | 2024.12.18 |
[Ubuntu] App Server 필요 라이브러리 설치 및 세팅 (0) | 2024.12.17 |